님에게 보내는 21번째 뉴스레터
IT소식을 한눈에 간단하게, 뉴스클리퍼입니다. |
|
|
· Google Cloud Day Seoul 2025
참가 후기 #중앙일보 #생성형AI도입사례
· AWS Game and Media
Customer Conference
· AWS, 대규모 프로덕션을 위한 AI 에이전트 기반을 제공합니다!
· 구글 클라우드, 버텍스 AI에 비오 3 및 비오 3 패스트 정식 출시
· Genie 3: A new frontier for world models
· OpenAI의 오픈 소스 모델: Azure AI Foundry 및 Windows AI Foundry의 gpt‑oss
· 클라우드 3사 실적, AI ROI가 반응 갈랐다
· 오픈AI, AI 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6년 만에 개방
·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 GPU 가격 폭등 vs AI 수요 급증… 트럼프 관세가 만든 AI 업계 희비극
|
|
|
지난 7월 8일, AI로 가득했던 Google Cloud Day Seoul 2025가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GS네오텍은 기사 검색 AI를 국내 언론사 최초로 도입한 '중앙일보'와 함께 AI를 도입하게 된 과정부터 해결하기까지의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 AI가 생성한 답변에 대한 신뢰성 문제
▶ 생성형 AI 모델 선택에 대한 고민
▶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시의성 있는 답변 제작에 대한 고민
▶ 기사에 적시된 오늘과 어제 등 상대적인 시점 문제 |
이러한 중앙일보의 Problem과 Needs 해결 과정을 GS네오텍이 함께 고민했는데요. 그렇게 구글 클라우드의 '버텍스 AI 서치', '제미나이'와 함께 여러 기술 방법을 적용하며 검색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도입 과정에서의 여러 기술적 도전과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GS네오텍의 실질적인 기술 이야기로 많은 이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눈길을 끌었답니다.
GS네오텍은 고객의 산업에 맞춘 생성형 AI 적용으로 비즈니스 성장에 함께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니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 클릭 후 확인해보세요! 👇🏻 |
|
|
게임과 미디어 산업에서 어떻게 AI를 적용하는지 다양한 사례를 'AWS Game and Media Customer Conference'에서 소개합니다.
GS네오텍은 GenAI PlayGround 플랫폼 'MISO'를 통해 총 2가지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1.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이미지 자동 생성 서비스
2. 스토리보드를 분석해서 자동으로 쇼츠 같은 짧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 |
서비스 적용 사례를 8월 20일 수요일, 조선팰리스 호텔, 오후 1시에 발표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또한 발표에서 소개한 서비스들을 GS네오텍 부스에서도 데모로 직접 체험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과 미디어 산업에 계신 분들은 꼭 참여해 보셔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어가시길 바라며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 |
|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 클릭 후 확인해보세요! 👇🏻 |
|
|
AWS, 대규모 프로덕션을 위한 AI 에이전트 기반을 제공합니다!_AWS Blog
AI 에이전트는 우리 모두의 일과 생활 방식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AWS의 CEO인 Matt Garman은 인터넷의 출현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 변화에 비견한다는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저 역시 지능형 에이전트 시스템이 이미∙∙∙ 자세히 보기
|
|
|
구글 클라우드, 버텍스 AI에 비오 3 및 비오 3 패스트 정식 출시_News Wire
구글 클라우드가 구글의 최첨단 AI 동영상 생성 모델인 비오 3(Veo 3)와 빠른 제작에 최적화된 비오 3 패스트(Veo 3 Fast)를 자사의 AI 개발 플랫폼인 버텍스 AI(Vertex AI)를 통해 정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기업과∙∙∙ 자세히 보기
|
|
|
Genie 3: A new frontier for world models_Google Deepmind Blog
전례 없는 다양성의 상호작용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는 범용 세계 모델인 Genie 3 를 발표합니다. 텍스트 프롬프트가 주어지면 Genie 3는 초당 24프레임으로 실시간으로 탐색할 수 있는 역동적인 세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자세히 보기
|
|
|
OpenAI의 오픈 소스 모델: Azure AI Foundry 및 Windows AI Foundry의 gpt‑oss_Microsoft Blog
Azure AI Foundry는 지능형 에이전트를 안정적으로 구축, 미세 조정 및 배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며, Foundry Local은 엣지에 오픈 소스 모델을 적용하여 수십억 대의∙∙∙ 자세히 보기
|
|
|
클라우드 3사 실적, AI ROI가 반응 갈랐다_Byline Network
퍼블릭 클라우드 3사가 지난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구글클라우드가 지난달 24일, 마이크로소프트가 30일, 아마존웹서비스(AWS)는 31일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사 모두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표를 내놨다. 3사의 향후 예정된 클라우드 매출은 1000억달러 이상이며, AWS는 2000억달러에 근접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300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예정했다.∙∙∙ 자세히 보기
|
오픈AI, AI 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6년 만에 개방_전자신문
오픈AI가 인간 추론과정을 모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 2종을 오픈소스로 개방한다. 오픈AI는 5일(현지시간) 'gpt-oss-120b'와 'gpt-oss-20b' 등 AI 모델을 글로벌 AI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 2019년 'GPT-2' 이후 첫 오픈소스 모델 공개다. 오픈AI는 그동안 대부분 모델을 폐쇄형으로 관리해왔다. 사용자 수정은 불가능했으며 기술 기반 정보도 제한적으로 제공했다.∙∙∙ 자세히 보기
|
|
|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_IT dongA
유튜브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동영상 플랫폼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발맞춰 알고리즘 및 수익화 전략을 끊임없이 개선하고 있다. 최근 ‘인급동(인기 급상승 동영상)’ 탭의 공식 폐지도 이러한 변화의 일환이다. 2015년 도입된 인급동 기능은 대중의 관심을 끄는 동영상 카테고리로, 유튜브 ‘알고리즘의 축복’을 받는 동영상으로 여겨졌다. 인급동에 게재되는 영상은 ‘다양한 시청자의 관심을 끌고’, ‘콘텐츠 창작자의 다양성을 보여주며’, ‘흥미와 새로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자세히 보기
|
GPU 가격 폭등 vs AI 수요 급증… 트럼프 관세가 만든 AI 업계 희비극_ZDNET Korea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조치가 전 세계 무역 구조에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소프트웨어(SW) 산업에 미칠 직간접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주목받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소프트웨어 산업에 위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소프트웨어는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 ∙∙∙ 자세히 보기
|
|
|
이번 뉴스클리퍼는 어떠셨나요?
IT 소식 알차셨나요?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모두 남겨주세요.
보내주신 피드백, 적극 수렴하여 더욱 발전하겠습니다.
|
|
|
22호는 더 유익한 소식과 함께 9월 4일 발행됩니다.
이달의 IT, 뉴스클리퍼로 한번에 Clip! News Clipper |
|
|
|